1. Vi ?
- Vim Editor의 줄임말.
-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편집기 중 하나.
- 유닉스 및 리눅스 시스템에서 텍스트 파일을 편집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강력한 명령줄 텍스트 편집기.
- 초기 유닉스 시스템에서 개발 되었으며, 현재까지도 많은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고 있다.
2. Vi 구조
Windows용 에디터와는 달리 에디팅하는 모드와 이를 편집하는 모드가 다르다.
크게 명령 모드, 입력 모드, EX 모드로 구분 할 수 있다.
2-1. 명령 모드
처음 vi 명령어로 vi를 시작하게 되면 들어가게 되는 모드.
방향키를 이용해 커서를 이동할 수 있다.
2-2. 입력 모드
명령 모드에서 i , a , o 명령을 통해서 입력 모드로 넘어갈 수 있다.
ESC를 누르면 명령 모드로 다시 돌아온다.
2-3. EX 모드(확장 명령 모드)
EX모드(확장 명령 모드), 마지막 행 모드(Last line mode) , 라인 모드 다양하게 부르는 것 같다.
명령 모드에서 : (콜론)을 입력하면 맨 하단에서 저장, 종료 등의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.
3. 사용방법
D드라이브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실행시켜서 사용해 보았다.(파일명 : WSL과 우분투 설치.ini)
- Vi는 반드시 파일명을 추가해서 실행해야 한다. (명령어 : vi 파일명)
gjson@gjson:/mnt/d/9999.개념정리/리눅스$ vi WSL과\ 우분투\ 설치.ini - 실행시키면 터미널이 Vi편집기 화면으로 전환된다. (명령모드로 시작한다)
3-1. 명령어 모음
- 명령 모드
명령어 | 설명 |
dd | 현재 커서 위치한 곳 한 줄 잘라내기 |
yy | 현재 커서 위차한 곳 한 줄 복사 |
p | 현재 커서 위차한 곳 아래줄에 붙여넣기 |
u | 방금 실행한 명령 취소 (undo) |
ctrl + r | 취소한 명령 다시 실행하기 (redo) |
^ | 현재 커서를 행의 맨 처음으로 이동 |
$ | 현재 커서를 행의 맨 마지막으로 이동 |
- 입력 모드
명령어 | 설명 |
i | 현재 커서 위치에 삽입 |
a | 현재 커서 바로 다음 위치에 삽입 |
o (소문자 o) | 현재 커서 바로 아래줄에 삽입 |
O (대문자 o) | 현재 커서 바로 윗줄에 삽입 |
- EX 모드(확장 명령 모드)
>> 명령어 앞에 :(콜론) 기억하기.
명령어 | 설명 |
:w | 저장 (저장만 하고 종료되진 않는다.) |
:wq | 저장하고 종료 |
:q | 저장하지 않고 종료 |
:q! |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 |
:wq! | 저장 후 강제종료 |
:f 파일명 | 파일 이름 변경 e.g. f rename.txt |
:set nu | 라인 번호 출력 |
:set nonu | 라인 번호 해제 |
:숫자 | 해당 라인숫자로 이동 |
:set hlsearch | 하이라이터 서치 켜기 |
:set nohlsearch | 하이라이터 서치 끄기 |
- 이동 방향키
(↑) k |
||
(←) h |
(↓) j |
(→) l |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CentOs7에 오라클 19c 설치하기 (1) | 2024.12.19 |
---|---|
[Linux] 리눅스 명령어 정리 (3) | 2024.07.19 |
[Linux] Windows에 WSL 설치 후 Ubuntu(우분투)까지 설치하기 (0) | 2024.07.18 |
[Linux] 쉘(Shell)이란? (0) | 2024.07.18 |
[Linux] 커널이란? (0) | 2024.07.18 |